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디지털노마드
- 해외생활
- 한국생활정리
- 해외여행
- 코리빙
- 유럽
- 에딘버러페스티벌
- 독서일기
- 어센틱릴레이팅
- 스페인
- 이민
- 마음관찰
- 유럽여행
- 북클럽
- 선재업고튀어
- 여행
- 아크로요가
- authenticrelating
- 자아성찰
- 코워킹
- 공동생활
- 스페인여행
- 선업튀
- 재택근무
- 2024년회고
- Reading Books
- 일기
- 이미써니
- 독서챌린지
- 노랑무늬영원
- Today
- Total
목록독서챌린지 (4)
느리게 빛나는 디지털 노마드 생활기
독서일기의 순서가 뒤죽박죽이라고 할 사람도 있겠지만. 나 스스로에게는 꼭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정세랑 작가의 시선으로부터, 이미예 작가의 달러구트 꿈백화점, 한강 작가의 노랑무늬영원과 양귀자 작가의 모순까지, 내가 지금 읽고 있는 모든 소설들은 결국 한 가지 질문을 내게 하고 있다.어떻게 살 것인가.그래서 생각해본다. 어떻게 살고 있나, 어떻게 살고 싶은가, 그래서 나의 선택은 무엇인가. 나는 어떻게 살 것인가. 그리고 우리는. 우주 안에 먼지 같은 이 인생의 소명을 찾는 이도, 영화 같이 내 인생의 주인공은 나라며 사는 이도, 모두가 고민할 그 질문. 주인공의 선택에 있는 모순과 그의 어머니의 인생에도 있는 모순이 나의 삶에는 어느 부분에 있나.
지하철에서 마지막을 읽으며 울음을 꾹 참아야했던 이야기. 그러다가 갈아타기위해 내려야했던 역을 지나쳐버렸다.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뇌에 이상이 있어서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아이의 자라남. 감각은 있지만 감정은 없다는 것. 세상의 시선과 엄마와 할머니와 도라와 곤이와 윤교수, 심박사까지. 아니 철사형과 거짓말을 한 아이와 퇴직을 앞둔 국어선생님까지. 이름 없지만 이야기 속에 있었던 사람들, 우리의 모습이기도 한 그이들. 이야기의 모든 인물들 하나하나의 이유가 있거나 이유가 궁금해지거나 이유를 막론하고 반성하도록 하거나 하는 등의 감정을 일으키는 힘은 있는 이야기. 자란다. 우리는 자란다.
처음으로 읽는 한강 작가의 책이다. 나는 이게 비교적 짧은 이야기들의 모음인 소설집이라는 것을 모르고 시작을 했는데, 스무 장 서른 장 정도의 짧은 이야기의 전달을 실감하고 있다. 그의 장편은 아직 읽어보지도 못했는데, 이 소설집에 실린 이야기들은 쓴지가 십년도 더 되었는데, 한강 작가는 추천하기를 자신의 가장 최신작부터 읽으라고 했다던데, 그런데도 이 이야기들은 참. 십년도 더 전에 이 이야기를 쓸 수 있었기 때문에 노벨문학상을 받을 글들을 쓸 수 있는 거였구나. 한국에 돌아와서 내가 시작한 책은 정세랑 작가의 시선으로부터였고, 그 다음으로 읽은 책은 이미예 작가의 달러구트 꿈백화점이었다. 시선으로부터는 그 이야기의 소재나 톤에 있어서 중간 어드메 쯤이라고 느꼈다. 달러구트 꿈백화점은 그보다는 밝은 이..
작년에 야심있게 12월부터 일주일에 한 권을 읽어서 일년에 쉰 두권을 읽겠다고 했는데. 한 달도 못 간 듯 하다. 원서를 그 정도로 읽으려면 시간을 훨씬 더 쏟아야하는데, 원서를 읽을 때의 나의 집중력과 관심은 널뛰기를 하는 것인지, 한 책을 진득하게 읽기가 어려웠다. 유월에 한국 컨텐츠를 흠뻑 소비하고 칠월에는 우리말로 책 초안을 써냈다. 그리고 나니 한국에 돌아오면서 우리말로 쓰여진 책들에 대한 갈증이 폭발하는게 느껴지는 것 아닌가. 12월 13일부터 오늘까지 4권의 책을 읽었다. 그러고 나니 다시 쉰 두권을 도전하기를 다짐하면서 떠올리기로는 원서도 읽기는 하겠지마는, 우리말 책들로 쉰 두권의 대부분을 채울 수도 있겠구나 싶다. 대신에 책을 읽으면서 기록을 남기기로 했다. 다이어리에는 그 날 읽은 내..